지난해 한국철도공사(코레일)가 접수한 유실물 중 가장 많은 물품은 가방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외에도 동물, 의료기구, 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22일 코레일은 지난해 1년간 전국 기차역과 열차에서 습득한 유실물이 총 24만 7,225건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전년보다 51.9% 늘어난 것으로 하루 평균 667건의 유실물이 접수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2022년 대비 수송량 증가율보다 유실물 증가율이 더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용객들이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'가방'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품목 중 15%를 차지해 3만 6,707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뒤를 이어 지갑이 11.4%(2만 8,236건), 쇼핑백 10.7%(2만 6,415건), 휴대전화 10.4%(2만 5,589건)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외에도 케이지에 든 도마뱀, 생물 꽃게, 강아지, 뱀 등 동물들과 목발, 지팡이, 코골이 양압기, 틀니 등의 유실물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"객실 통로에 수석(壽石)인지 유실물인지 판단이 어려운 주먹 크기 돌멩이가 있었으나, 내릴 때 보니 주인이 챙겨간 것으로 보인다"는 승무원의 기록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실물이 가장 많이 접수된 곳은 경부선 출발·도착역인 부산역과 서울역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각각 4만 5,591건과 3만 7,213건이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접수한 유실물 중 56.9%가 본인에게 인도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 중 97%는 접수 후 7일 이내 반환됐습니다. <br /> <br />접수된 유실물 중 37.7%는 경찰서에 이관됐고, 음식물 등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폐기된 유실물은 4.4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법에 따라 유실물은 습득한 역에서 일주일간 보관됩니다. <br /> <br />이후에도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경찰서로 넘겨집니다. <br /> <br />역사에서 물건을 분실했다면 가까운 역무실이나 철도고객센터로, 열차 승차 중에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승무원에게 신고하면 됩니다. <br /> <br />잃어버린 물건은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(LOST112)에서 직접 조회도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기자ㅣ최가영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 선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YTN 최가영 (weeping0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12211252845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